-----BEGIN PUBLIC KEY----- MIIBojANBgkqhkiG9w0BAQEFAAOCAY8AMIIBigKCAYEA1pgqQPBz+BuaCypesK2W ibcDh6Vd7/7JDwkle0zur4ZhGN6+D53jPC9nLbjwWYRG3im1SHsc/rRMintKWqnq hmfSNpPhDX5TWF4xabJCnbsE4oBb2xLQIOHxyRZsXeE6DWG+Vgymbb2s0JJ2RJ3W ppXeZOSBGG6fxvq/5ZmWhce6psLGPycE94IlkYTq5CmS9Ze9vWsXKDZJBeVtTOtx fzA/12cq3QoyCcWFzM8CFCibLcB1iPntcDs9ZZtiRjdqK+QcYDONbj71qdGeo3d5 N67yzMG+nnoNE5b16anRnh7OcEIW4wLs7eoMubQxd7yaZsvq9V9RQYoRinU3DZhB 6bzM3XgkP2B8NrjbYLO/0LXuq4brxUN/1L9qTpmN0rGw9zlCK06mKz6vfItpSJqe QfA7++ieiuxqq0FAq8HAMvuJihkiz177pufIBJiks1OXSSexIAUNd2p3NJsTcApS u/kw07UrgrtNvbGNjkpAfQQnhH39249+4cOXYxxVJQDXAgMBAAE= -----END PUBLIC KEY-----
매 순간이 위급한 응급상황, 최선의 진료를 약속 드립니다.
응급실 내원 환자는 응급실로 직행하여 우선 진료를 받으며 보호자는 원무접수를 하여 예진 과정이 이루어 집니다.
예진 과정에서 환자의 과거 병력 및 현 증상, 소견 등을 참고하여 응급의학과 전문 진료 받게 됩니다.
환자의 상태에 따라 필요한 응급처치를 실시하면서, 필요한 경우 진찰 및 검사, 처치 등이 동시에 이루어집니다.
필요에 따라 다른 전문 과목의 진료가 더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담당의사는 해당과의 전문의와 협진을 합니다.
응급 진료 후 필요에 따라 수술, 입원 또는 퇴원 여부를 결정합니다.
급성질환 | 외래에서 진료할 수 없는 심폐소생 | 쇼크 | 중독분야 |
손상으로 인한 신체의 이상 | 소생 후 증후군 | 독물학 | 중환자의학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