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----BEGIN PUBLIC KEY----- MIIBojANBgkqhkiG9w0BAQEFAAOCAY8AMIIBigKCAYEAw8Zux4N3FWcNpc8wrJ+K XDKxvMspjKr5OOmXZEorZdD1CeIYk6ePxwDk8XYgm8J2a+KELnVViZG5+PDHrXOr 4qKizhvvDOSphDT26U3iO0Lxg9jTyZAwPv1S0sL/los2dzeygc195TgrVgEp7DcL QdtgnB0pHqgi2uK91zC4+N2Jwvq/sBP47kQobHPM72w6A4cXioMQhZEd0IeUc6d+ NA1TPDLPQLiyf9OdwEVllU8YppqDdAjp9QRVXB6S7kO5GPpp9wbljOkn7EBLTOtt rWZowgafG/2ykXYB29g1aq70cBTBf8BfvZ8HXW10qBcAvAFnuzAHoq8KvhoRTHLg 2Qvtjbzv5YVYYHowYoinYogxuKjkMRmoPYhmXEA7FtROiiuSKfvyGJg/DKCaqvVD rMw504DBU4XznUSPphDZwBUBHoGKW3IRUx+OaHmzT1VcFZmv38gZCWb5IvXiQ3gD +c1RlIHPwMlLQs9b5jb2z27ym+yL7BxY2KP0fqZUkIMXAgMBAAE= -----END PUBLIC KEY-----
매 순간이 위급한 응급상황, 최선의 진료를 약속 드립니다.
응급실 내원 환자는 응급실로 직행하여 우선 진료를 받으며 보호자는 원무접수를 하여 예진 과정이 이루어 집니다.
예진 과정에서 환자의 과거 병력 및 현 증상, 소견 등을 참고하여 응급의학과 전문 진료 받게 됩니다.
환자의 상태에 따라 필요한 응급처치를 실시하면서, 필요한 경우 진찰 및 검사, 처치 등이 동시에 이루어집니다.
필요에 따라 다른 전문 과목의 진료가 더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담당의사는 해당과의 전문의와 협진을 합니다.
응급 진료 후 필요에 따라 수술, 입원 또는 퇴원 여부를 결정합니다.
급성질환 | 외래에서 진료할 수 없는 심폐소생 | 쇼크 | 중독분야 |
손상으로 인한 신체의 이상 | 소생 후 증후군 | 독물학 | 중환자의학 |